[한방 사포닌 농법의 창안]
우리는 인삼을 복용하면 몸에 좋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으며 인삼에 어떤 성분이 들어 있기 때문에 몸에 더욱 좋다라는 것 쯤은 누구나 다 알고 있을 것이다.
옛날 중국에서는 강장약, 또는 죽어가는 환자의 생명을 연장시키는 구급약으로 부자들에게는 회춘, 또는 불로장생에 도움을 주는 양약으로 희구되어 왔다. 인삼은 여러나라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중국에서 생산된 중국인삼, 일본에서 생산된 일본인삼, 미국에서 생산된 미국인삼,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고려인삼이다. 그중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고려인삼이 세계에서 최고이다.
이러한 세계최고의 고려인삼을 이용하여 한방엑기스를 만들어 여러 식물체에 사용하여 새로운 효능과 효과가 놀라운바 이것을 체계화 시켜 새로운 농법 즉 "한방 사포닌 농법"을 창안하고저 하며 다각적인 실험을 실시하고 있는 중에 있다. 또한 최근 생산자 사이에 앞을 다투어 감농약 방법, 무농약재배, 유기농법 이란 표어아래 여러가지 농법을 사용하고 있다. 한방 사포닌 노법은 화학비료나 중간형태의 농법이다. 아니 더나아가서는 자연농법이나 유기농법에 가까운 농법이다. 한방 사포닌을 잘 사용하면 확실하게 농약을 줄일수 있고, 감농약으로 품질향상과 다수확 및 고소득을 올릴 수 있다. 뒤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인삼속에 함유되어 있는 사포닌은 사람이나 동물에게 유익할 뿐만 아니라 식물에게도 상당한 효능이 있으며 한방 사포닌을 사용한 식물체는 명충해의 저항성과 자연 공해에 강하여 식물의 활력과 생명력을 불어 넣어주고 과일의 당도 및 광택, 크기 등에 영향력을 가진다. 지금의 농사에 쓰여지는 농약의 량, 회수를 줄이고, 대자연 속에서 작물들이 병충해로부터 저항력을 한층 강화시키는 농법이 바로 한방 사포닌 농법이다. 벼나 야채농가, 과수, 화훼농가 또한 콩나물재배농가, 버섯재배농가 등에서 이러한 한방 사포닌 농법을 시도한다면 큰효과를 볼수 있을 것이며 유기농법, 자연농법을 시험하고 있는 다수의 농가가 참여 한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한방 사포닌 농법의 기본적인 이해]
(1) 고려인삼의 성분과 약리 활성
[1] 사포닌 성분(Saponins)약리작용
사포닌은 화학적으로 배당체라 부르는 화합물의 일종이다. 이 수용액은 흔들면 비누처럼 지속성의 미세한 거품을 내는 일반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Saponin(사포닌)이란 어원은 비누처럼 거품을 낸다고 하여 "Sapo :비누"에서 유래되어진 말이다. 사포닌 함유식물은 예로부터 세정, 거담, 진해를 목적으로 의약품에 응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소염, 해열, 건위, 배농, 항종양, 이뇨, 강장, 강정등 사포닌의 특이적인 약효가 점차 확인되고 있다. 사포닌의 화학구조를 간단히 정의하면 당부분 "Sugar" (glycone), 미당부분"non-Suger"(aglycone)로 구성되어 있는 배당체이다. 사포닌의 비당부부을 Saogenoid계 사포닌이 대부분 차지하고 진해, 거담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생약인 도라지, 원지 등에 함유되어 있는 사포닌이 여기에 속한다. 그러나 인삼 사포닌은 거의 triterpenoid계의 dammarane계 사포닌으로서 인삼속 식물에만 존재하는 특유의 사포닌이다. 우리나라의 고려인삼은 외국인삼보다 2배이상의 많은 함유되어 있다. 고려인삼 속에는 약 30여종의 사포닌의 종류가 함유되어 있고, 3∼6%의 사포닌의 함량을 가지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다양한 약리 작용이 있다.
[2] (표 1-1.) 고려인삼 사포닌의 약리작용
G-Ro : 항염증 작용, 혈소판 응집억제, 항트롬빈 작용 및 선용활성화 작용, 평활근세포증식 억제작용, 탐식 기능활성화 작용, 항간염 작용, 혈관확장 작용
G-Rb1 : 중추억제 및 정신안정 작용, 중추성 섭식 억제작용, 공격성 행동억제, 진통작용, 항경련작용, 부신피질 자극홀몬 및 코티코스테론 분비 촉진작용, 항불안작용, 콜레스테롤 생합성 촉진작용, 고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및 유리지방산의 저하작용, 골수세포의 DNA, RNA, 단배질 및 지질합성 촉진작용, 단백질합성 촉진작용(마우스 뇌), 신경세포 생존 촉진작용, 아세칠 콜린(Ach.)방출 촉진작용, 기억력 개선작용,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 지질과산화 억제작용 (간 및 뇌 균질액: catalase, GSH peroxidase활성증대), 혈관확장작용, 콜레스테롤 대사 촉진작용(LDL수용체 활성화), 항염증 작용(다형핵 백혈구의 화학주성능 억제), 간 상해 보 호작용, 사염화탄소 유도 간의 단백질 인산화 억제 및 세포내 칼슘축적 억제작용, 탐식기능 활성화작용, mesenchyme세포증식 억제(신장사구체 비대억제)
G-Rb2 : 당 및 지방대사 촉진, 항당뇨 작용, ACTH, cAMP, epinephrine유도 지방분해 억제작용, 질소 대사 평형 유지작용(당뇨병 흰쥐), 고콜레스테롤 저하 및 항동맥경화 작용, DNA, RNA, 부신 피질 자극홀몬, 코티코스테론 분비 촉진작용, 단백질, 지질합성 촉진작용, 암독소홀몬의 길 항작용, 평활근세포 증식억제작용, 종양혈관 신생 억제작용, 스트레스성 식용감퇴 개선, 항 산화 활성물질 생성촉진작용, 간조직의 ATP공급 호라성화작용(APT함량증가: 당뇨병쥐), STZ 유도 당뇨병 쥐의 단백질 생합성 촉진작용, TXA2합성효소 억제(혈소판 응집억제), 콜레스테 롤대사 촉진작용(LDL수용체 활성화), 간세포 증식 및 DNA 합성촉진, 면역조절작용(자가면역 실험모델), 진통작용
G-Rc : 진통작용, 코티코스테론 분비 촉진작용, PGI2 생성 촉진작용, 간, 혈청콜레스테롤, RNA 합 성촉진작용, 골수세포 DNA, RNA, 단백질 및 지질합성 촉진작용 prostacylin행합성 촉진, mesenchyme세포 증식억제(신장사구체 비대억제)
G-Rd : 부신피질 자극홀몬, 코티코스테론 분비 촉진작용, mesenchyme세포증식 억제(tlswkdtkrncp qleodjrwp)
G-Re : 부신피질 자극홀몬, 코티코스테론 분비촉진, 골수세포의 DNA, RNA, 단백질, 지질합성 촉진 작용, 진통작용, 평할근 세포증식억제, 혈관 확장작용, 콜레스테롤대사 촉진작용(LDL 수용 체활성화), 간 상해(사염화탄소 유도)보호작용, 항고온스트레스 작용
G-Rf : 통증억제 작용, 지질과산화 억제작용, 알코올유도 뇌발육 장해 방어작용
G-Rg1 : 면역기능 증강작용, 혈소판 응집억제, 항트롬빈, 선용활성화 작용, 기억 및 학습기능 증진 작용, 코티코스테로이드 수용체 활성화 작용(흰쥐 노 조직), 단백질합성 촉진작용(마우스 뇌), 항피로 작용, 항스트레스작용, 중추 흥분작용, 혈관학장(이완)작용, 고온환경 및 내인 성 발열문질 등 유해작극 방어작용, 스트레스성 성행동장해 개선작용, 항신염작용 및 신혈 류량 증대작용, 신경세포 생존율 촉진작용ㅇ, 콜레스테롤대사 촉진작용(LDL 수용체 활성 화), 항염증 작용(다형핵 백혈구의 화학주성능 억제), 간세포 증식 및 DNA 합성촉진, 간장 해(사염화탄소 유도) 보호작용, 부신피질자극 홀몬분비 촉진작용
G-Rg2 : 혈소판 응집억제, 항트롬빈, 선용활성화 작용, 기억감퇴 개선, 평활근세포 증식억제작용, 아세칠콜린(Ach.) 유도 카테콜아민(CA)분비 억제 및 세포내 칼슘유입 억제작용
G-Rg3 : 암세포전이 억제작용, 혈소판 응집억제 및 항혈전작용, 실험적 간 상해 억제작용, 혈관이완 작용, 항암제의 내성 억제작용
G-Rh1 : 실험적 간 상해 억제작용, 종양세포(F9 cells)분화촉진, 혈소판 응집억제 및 선용활성화 작 용
G-Rh2 : 암세포증식 억제작용, 암세포 재분화유도 촉진작용ㅇ, 암세포 침윤 억제작용, 종양증식 억 제작용(invivo), 항암제의 항암활성 증대작용
[2] 한방 사포닌 농법의 병충해 저항 능력
자연 식물체는 잎의 표면에 파라핀이나 산소(에스텔)을 분비해서 병균이나 해충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더우기 극단적인 건졸부터 식물체를 지킬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한방 사포닌 농법은 앞서 우리의 고려인삼의 약리작용에서 보았듯이 이러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방 엑기스를 물에 혼용하여 엽면살포사용하면 식물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고 자기 방위기능을 한층 강화할수 있을 것이다.
건강한 식물체는 왕성한 신진대사를 하고 두터운 막을 만들지만 불 건전한 식물체는 신진대사가 중지되고 병, 해충의 침해를 당한다. 식물체는 스스로 보호하고, 생리적 기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그 외표면에 한층의 단단하고 튼튼한 표피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인간의 피부, 곤충의 외골격의 성분인 키친등이고 식물에 있어서는 그 표면을 보호하고 있는 구성물은 쿠치쿠라(cuticula=식물의 표피세포나 동물의 상피세포의 분비물로서 이루어진 층중 외측의 단단한 막과 같은 구조의 층, 식물에서는 쿠친, 동물에서는 경단백질로 이루어진다. 수분발산의 방지, 세포의 보호등의 기능이 있다 : 각퇴 )라고 불리워지는 층으로서 그 표면은 왁스(파라핀질)질로서 뒤덮여져있다.
식물체의 쿠치쿠라는 엽신, 엽병, 가지, 줄기, 꽃받침, 꽃, 화변, 과일, 종자등 외피의 방방곡곡에 분포해서 표면막을 만들고 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쿠이쿠라는 하나의 연속된 무생명의 물질로서 식물체의 표피세포를 뒤덮고 있는 다층상의 막이다. 이 쿠치쿠라층의 조성은 파라핀이 주성분으로서 그외 지방산과 소량의 에스텔(산소)이 존재한다. 쿠치쿠라등은 식물의 생리기능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중요한 역활을 하고 있다. 예를 들면 과잉증산을 방지하고, 식물체의 표면을 건조로부터 지키고 있다. 또 빗물등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세포의 양분이 비로서 유실되는 것을 막는다. 더욱이 병충해의 침입이나 기해, 바람이나 동해, 서리해등으로 부터 몸을 지키는 것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활을 한다. 그런데 농약의 과잉살포는 이러한 식물의 표면 물질을 파괴하고 농작물의 생산에 악영향을 준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식물의 병균은 크게 사상균(곰팡이), 세균(박테리아), 바이러스로 나누어진다. 식물의 잎 표면에 붙는 병균은 이러한 병균외에 유익, 무익 잡균으로 가득차있다. 토양중에 서식하고 있는 균의 대부분이 잎표면에 붙어 있다. 병균이 침입할려고 할 경우에는 우선 이러한 잡균과의 싸움이 일어난다. 사상균에 메달려서 먹어버리는 세균, 항생물질을 내어서 사상균(곰팡이)를 녹여버리는 방선균, 상대를 죽이지는 않더라도 자신의 망을 쳐서 상대가 가까이오지 못하게 하는 균등 다양하다.
식물체의 잎에는 여러가지 균이 우글거리면서 생활을 하고 있고 서로 견제하고, 먹히고, 증가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하는 교대를 반복하고 어떤 종류의 균만이 이상 번식하지 않는 균형을 취하고 있다. 자연의 초목이 농약을 살포도 하지 않았는데 건전하게 자라도 있는 것은 이러한 식물체의 잎 표면의 미생물이 균형이 잡혀 있기 때문이다. 이것으로 볼때 농약살포는 이 균형을 무너뜨리고 어떤종류의 병균의 이상번식을 불러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그것뿐만 아니라 왁스층을 파괴하고 균이 침입할 수 있도록 입구를 열어주는 계기가 되는 것이다. 병균의 생태를 무시한 무계획한 농약살포는 오히려 새로운 병을 불러일이키는 원인이 된다. 병균이 식물체로 침입하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다. 하나는 왁스층을 찢고 침입하는 방법과 또 하나는 기공이나 수공, 잎의 상처로부터이다.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있어서는 왁스층은 큰 장벽이다. 병균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 식물이 가지고 있는 제1의 방어벽이다.
그런데 사상균(곰팡이)의 대부분은 산소를 내어서 왁스층을 녹이고 잎의 세포에 침입한다. 딸기의 탄저병은 사상균(곰팡이)에 의한 피해이다. 딸기의 탄저병은 식물체의 왁스층으로부터 침입하는 것과 식물체의 상처부위로 침입하는 2가지 형태로 피해를 받는다.
① 병원균
탄저병은 공팡이라 불리는 사상균에 의해 일어나는 병이다. 현재 탄저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Glomerella Cingulata 와 Colletortrichum acutatum의 2가지 종류로 알려져 있다. 후자의 탄저병균은 주로 잎을 시들게 하는 증상으로 많은 피해를 주지 않으며, 전자 즉 Clomerella Cingulata에 의한 탄저병이 많은 피해를 준다.
② 병징후 및 진단
㉠ 병징후
본병의 병반은 런너와 엽상에 나타나기 쉽고, 그러한 것에서는 조금 움푹파인(방추형)이다. 다습시의 병반에는 분생자층이 형성되어진다. 잎에서는 직경 2∼3mm의 흑생의 반점이 나타난다. 크라운부가 침해당하면은 위조고사한다. 또한, 잎에 있어서 반점형의 병반은, 감염 4∼5 일후에 최상위전개엽이나 전개중인 잎에 나타난다. 이러한것으로부터 발병잎, 잠복기간 및 출엽간격을 계산하는것에 의한, 본병의 감염시기나 발생량을 추정하는 유력한 짚가 된다.
㉡ 병원성
종래, 본병균은 딸기에만 있는 병원성이라고 여겨져왔다. 그러나 시크라맨, 매고니아등에 대해서도 병원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특히, 딸기와 시크라맨에서는 자연조건하에서의 상호감염도 생각할 수가 있다.
㉢ 유사병해와의 판별
본병과 병징후가 유사한 청고병 및 역병과의 판별방법을 소개한다. 청고병은 이병 크라운부를 유리컵안의 맑은 물에 절단면을 넣으면은 세균에 의한 오염된 백색즙을 배출하지만, 본병은 배출하지 않는다. 역병은 피애주의 갈변부분을 작게 절단하고, 가지의 과실에 섞어서 습한 면을 넣은 비닐봉지에 가지의 과실을 넣고, 25∼30℃의 다습상태로 유지한다. 역병이라면은 맑은 갈색인 병반이 나타나지만, 본병은 나타나지 않으므로 판별가능하다.
③ 전입방법
본경의 제1차전염원은, 잠재감염주와 발병포장의 이병잔사이다. 제2차전염은, 수용성의 호상물질로서 단단해져있는 포자의 강우나 관수로서 녹고, 포자가 물방울과 함께 발산하여 발병 만연한다.
④ 발병조건
본병은, 고온다습조건에서 다발한다. 본병균은 딸기 줄기잎이 젖어있는 시간이 길수록 용이하게 침입하고, 또 토양수분이 높을수록 격하게 발병한다. 특히 장마시기, 夏期에는 많이 발생하고 적절한 경종적방제가 이루어져있지않을 경우, 만연을 방지하는 것은
'자연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천 (0) | 2009.08.10 |
---|---|
[스크랩] 독립영양농법과 생물토양(살아있는 토양) (0) | 2008.03.03 |
[스크랩] 숯과 목초액에 대하여 (0) | 2008.02.07 |
[스크랩] 유기농거름 만들기(15일째) (0) | 2008.02.05 |
목초액 (0) | 2008.02.04 |